[Server] ATM에 Ubuntu(Linux) 운영체제 구축 (M1 Mac Pro)
·
Server Developer/Server Basic
ATM에 Ubuntu(Linux) 운영체제 구축 (M1 Mac Pro) 학습 후 정리한 포스팅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TM에 Ubuntu(Linux) 운영체제 구축 (M1 Mac Pro)에 대해 학습합니다. I) VM (Virtual Machine)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물리적 컴퓨터 시스템 위에 가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 시스템 이는 호스트 머신(실제 물리적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게스트 운영 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mac 환경에서 VM은 패러렐즈, UTM 등이 있으나 M1 Mac 으로 넘어오면서 많은 VM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arm64을 지원하는 UTM을 사용하여 Ubunt..
[Node.js] Dao에서 내가 원하는 결과 외에 다른 데이터가 나오는 경우
·
Server Developer/Node.js
Node.js 학습 후 정리한 포스팅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ode.js에 대해 학습합니다. I) 문제 Express를 통해 API 설계 중 Dao에서 내가 원하는 결과 외에 다른 데이터가 나왔다. // 2 - 5 책 모임의 소속 회원의 이름, 상태메시지, 현재 상태를 조회함 module.exports.clubMember = async (connection, [club_id]) =>{ const clubSearchQuery =`SELECT UserInfo.user_id, UserInfo.now_reading, UserInfo.profile_message FROM UserInfo LEFT JOIN ClubMember ON UserInfo.user_id = ClubMember.user_id LEFT J..
[DataBase] Homebrew를 사용하여 MySQL 설치하기 (Mac M1 Pro)
·
Server Developer/DataBase&Data Engineering
Mac M1 Pro에서 Homebrew를 사용하여 MySQL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한 포스팅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omebrew를 사용하여 MySQL 설치하기에 대해 학습합니다. I) Homebrew - Homebrew란? 터미널과 같은 CLI환경에서 프로그램의 설치, 삭제, 업데이트를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패키지매니저이다. Mac을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려면 보통 App Store나 해당 사이트에 접속해서 다운 받아야한다. 이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설치 될 수 있고, 프로그램 삭제 시 데이터가 남아있을 수 있다. Homebrew을 사용하여 개발자가 손 쉽게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명령어로 설치하고 관리하는 앱스토어 개념) - Homebrew 설치 i) Homebrew 홈..
[Node.js] 인스타그램 클론코딩 (프레임워크 구조)
·
Server Developer/Node.js
UMC 3기 Node.js 과정과 컴공선배 서버 클론코딩 학습 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레임워크 구조에 대해 학습힙니다. I) 프레임워크 구조 Route Controller Provider/Service Dao II) Route Restful하게 URI 넘겨주기 라우팅 해주기 III) Controller 형식적 Validation :타입, 빈칸, 길이, 정규 표현식 등Query StringPath VariableBody IV) Provider/Service 의미적 Validation : DB단에서 거쳐야하는 것들 ex) e-mail 중복 채크 DB connection i) Provider 조회 (SELECT) ii) Service조회 외의 처리 (INSERT, DELETE, UPDAT..
[Node.js] 인스타그램 클론코딩 (Restful API)
·
Server Developer/Node.js
UMC 3기 Node.js 과정과 컴공선배 서버 클론코딩 학습 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tful API에 대해 학습합니다. I)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REST 란? 리소스를 이름으로 구분하여 상태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는 시점의 상태를 XML, JSON, CSV를 통해 주고 받는다. XML XML이 가지는 고유한 문법이 있다는 점에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다목적 마크업 언어로 태그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기술하는 언어이다. XML은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어 온 방식으로 HTML과 흡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JSON JSON 형식..